본문 바로가기

Chemical related

윤활유란 무엇인가?

윤활유

윤활유는 보통 기계적인 윤활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을 이야기 한다.

 

보통 원유 정제 과정에서 얻은 기유를 원료로 하여 사용 목적에 맞게 배합비 및 첨가제 투입 등이 연구되어 개발되거나, 화학적 합성의 과정을 통해 개발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용도에 의한 분류:

   - 윤활기유는 용도에 따라 보통 자동차용, 공업용, 산업용, 선박용으로 구분 되며,

   - 다시 각 용도별로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있다.

      > ex) 자동차용 윤활기유 : 가솔린 엔진 오일, 디젤 엔진 오일, 자동변속기유 등

 

2. 점도에 의한 분류:

   - 점도란 액체의 내부 마찰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 점도에 따라 윤활유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변화가 생긴다.

     > 점도가 높은 윤활유는 고온에서도 점성이 유지되어 엔진 부품의 마모를 방지하고 누설을 막아줌.

     > 점도가 낮은 윤활유는 저온에서도 유동성이 좋아 엔진 시동 시 부품에 바르게 퍼져주고 연료 소모를 줄여줌.

 

가장 대표적인 윤활유인 자동차용 엔진오일을 다시 제시히 살펴보자.

 

1. 점도에 따른 엔진오일의 분류 기준

   - SA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지수로 표시할 수 있다.

   - SAE 지수는 다시 단급점도유와 다급점도유로 나뉜다.

      > 단급점도유는 한 숫자로만 표시하는 등급 제품 (: SAE 10W)

      > 다급점도유는 두 가지 숫자 등급이 동시에 표시되는 제품 (: SAE 5W30) - 이때 각각 저온 및 고온 점도 규격 의미

 

2. 성능에 따른 엔진오일의 분류 기준

    - API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지수로 표시

    -   API 지수는 가솔린 엔진 오일과 디젤 엔진 오일로 나뉘며, 각각 'S’ 'C’로 시작하는 알파벳으로 표시

      > 그 뒤에 오는 알파벳은 성능 등급을 표시

   - 최근 엔진 모델일 수록 더욱 가혹한 환경에서의 작동과 엄격한 환경 규제 하에서의 작동을 요구 받기 때문에 최신 엔진 성능 등급 일 수록 이전 등급 대비 더욱 엄격한 규제를 충족하고 있다.

 

*첨부 조사 : 가솔린 및 디젤 엔진오일 등급 변천사

 

1. 가솔린 엔진 오일의 경우, ‘S’ 다음에 오는 알파벳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SA: 1900년대 초반의 간단한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SB: 1930년대 중반부터 사용된 저성능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SC: 1964년부터 1967년까지 생산된 고성능 가솔린 엔진용으로 적합하다.

SD: 1968년부터 1971년까지 생산된 고성능 가솔린 엔진용으로 적합하다.

SE: 1972년부터 1979년까지 생산된 고성능 가솔린 엔진용으로 적합하다.

SF: 1980년부터 1989년까지 생산된 고성능 가솔린 엔진용으로 적합하다.

SG: 1989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가솔린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SE와 호환된다.

SH: 1993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가솔린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SG와 호환된다. ILSAC GF-1 규격을 만족한다.

SJ: 1996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가솔린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SH와 호환된다. ILSAC GF-2 규격을 만족한다.

SL: 2001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가솔린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SJ와 호환된다. ILSAC GF-3 규격을 만족한다.

SM: 2004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가솔린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SL과 호환된다. ILSAC GF-4 규격을 만족한다.

 

2. 디젤 엔진 오일의 경우, ‘C’ 다음에 오는 알파벳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CA: 1949년부터 사용된 저성능 디젤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CB: 1955년부터 사용된 저성능 디젤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CC: 1961년부터 1966년까지 생산된 중성능 디젤 엔진용으로 적합하다.

CD: 1955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디젤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CC와 호환된다. CD-II 2행정 디젤 엔진용이다다.

CE: 1984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디젤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CD와 호환된다. CE는 터보차져나 슈퍼차져가 장착된 디젤 엔진에도 사용할 수 있다.

CF: 1994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디젤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CE와 호환된다. CF는 낮은 황 함량의 연료를 사용하는 디젤 엔진에도 사용할 수 있다. CF-2 2행정 디젤 엔진용이다.

CG: 1995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디젤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CF와 호환된다. CG는 높은 부하와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트럭이나 버스 등의 차량에 사용할 수 있다.

CH: 1998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디젤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CG와 호환된다. CH는 배기가스 재순환 (EGR)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 사용할 수 있다.

CI: 2002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고성능 디젤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CH와 호환된다. CI EGR 시스템과 입자상 물질 (PM) 필터가 장착된 차량에 사용할 수 있다.

CJ: 2007년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최고 성능의 디젤 엔진용으로 적합하며, CI와 호환된다. CJ EGR 시스템과 PM 필터뿐만 아니라 선택적 촉매회수 (SCR) 시스템이나 질소산화물 (NOx) 트랩 등의 배기가스 처리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사용할 수 있다.

 

*첨부 조사 : 기타

API 지수 외에도 유럽 자동차 제조업자협회 (ACEA), 국제 윤활유 표준화 및 승인위원회 (ILSAC), 일본 자동차 제조업자협회 (JAMA) 등에서도 각각 윤활기유의 성능 등급을 정해 놓고 있다. 이들은 API 지수와는 다른 기준과 방법으로 윤활기유의 품질을 평가하며, 각각의 규격에 맞는 윤활기유를 사용하는 것이 엔진의 수명과 성능에 도움이 된다.

 

최근에는 그 성능 규정을 더 높인 규격이 출시하려고 하는 것 같은데, 조사되면 다시 작성하기로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