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hemical related

(8)
기유(Base Oil)의 발암성에 대해서 오늘은 윤활유의 제일 기본인, 기유의 발암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화학물질을 취급하다 보면 MSDS를 활용하지 않을수가 없다. 여기서 제일 중요한 정보 중의 하나가 유해위험성이고, 또 발암성이다. 기유는 정제 수준, 처리 방법, 점도 등에 따라 분류되어 Cas No.가 붙고, 여기에 따라서 발암성 분류가 이루어진다. S-Oil의 GII 500N, Aramco Prima 500의 MSDS를 보자. https://www.s-oil.com/en/energy/MSDS.aspx?PageNo=2&SType=&SWord= MSDS < Business < S-OIL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s the data that has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MSDS 물질 함유량은 어떻게 설정하나? 간만에 화학 관련 블로그를 포스팅해보자.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의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는 3번, 화학물질의 종류 및 함량이다. 화학물질의 종류는 물질명과 이명, Cas No.로 표기되며, 함량은 아래처럼 제일 오른쪽에 범위값으로 표시된다. 그런데 이 함량은 어떻게 설정하는가? 단일 물질의 경우, 보통 그냥 100%로 들어간다. 하지만 혼합물은 두가지 이상이 일정한 비율로 섞여있는데, 보통 이 비율을 포뮬레이션(Formulation, 배합비)이라고 하며, 영업비밀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50%, 75% 이런식으로 표현하지 않고 50~70% 이런식으로 표시하게 된다. 그러면 이 함량은 만드는 사람 마음대로인가? 해외는... 영업비밀 보호를 위해서인지 규제를 안하는 경..
21년 발표된 MSDS 관련 주요 개정 사항 지난 21년 1/16일부터 MSDS 전면 개정안이 발효되었다... msds.kosha.or.kr에 MSDS를 등록해야 하며, 영업비밀을 쓰고자 할 때도 관련있는 대체코드를 선정해서 심사를 받고 써야 하는데 심사비가 최소 7만원에서 최대 23만원까지 든다. 안전보건공단 업무가 엄청 늘어났을 것 같고... 대체코드 심사자들은 새로운 수입원이 생겼겠네.... 다행히, 연간 생산량 기준으로 기존 제품들은 유예기간이 존재한다. 연간 1000톤 이상은 1년이상, 이후 생산량에 따라 최대 5년까지이다. 기존, 1000톤↑ 기존, 100톤↑ 10톤↑ 기존, 1톤↑ 기존, 1톤↓ 신규/개정 2022.1.16 2023.1.16 2024.1.16 2025.1.16 2026.1.16 즉시 따라 왠만한 제품은 최소 1년 이상의..
윤활유란 무엇인가? 윤활유 윤활유는 보통 기계적인 윤활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을 이야기 한다. 보통 원유 정제 과정에서 얻은 기유를 원료로 하여 사용 목적에 맞게 배합비 및 첨가제 투입 등이 연구되어 개발되거나, 화학적 합성의 과정을 통해 개발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용도에 의한 분류: - 윤활기유는 용도에 따라 보통 자동차용, 공업용, 산업용, 선박용으로 구분 되며, - 다시 각 용도별로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있다. > ex) 자동차용 윤활기유 : 가솔린 엔진 오일, 디젤 엔진 오일, 자동변속기유 등 2. 점도에 의한 분류: - 점도란 액체의 내부 마찰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 점도에 따라 윤활유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변화가 생긴다. > 점도가 높은 윤활유는 고..
EU의 CLP Regulation에 대하여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다 보면, EU CLP라는 규정에 관련된 내용이 자주, 중요하게 나온다. E유럽연합의 CLP Regulation은 화학물질 및 혼합물의 분류, 표시 및 포장(CLP - Classification, Labelling and Packaging)에 관한 규정이다. 이 규정은 이전에 적용되던 구분 및 표시 및 포장에 관한 규정인 Dangerous Substances Directive(DSD)와 Dangerous Preparations Directive(DPD)를 대체한다. CLP Regulation은 화학물질과 혼합물의 위험성을 식별하고, 이를 분류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이를 통해 1. 작업자, 소비자 및 환경에 대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2. 국제적인 ..
화학물질의 정보를 알아보는 방법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매우 다양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데, 과연 이 화학물질이 어떤 물질인가 궁금할 때가 있다. 외관, 점도, 비중, 인화점 등의 아주 단순한 물성에서부터, 특히나 중요한 인체나 자연 환경에 대한 독성까지... 이런 것들을 알아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알아야 할 내용은 Cas 번호(Cas Number or Cas No.)와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이다. 1. Cas Number CAS 번호(CAS number)는 화학물질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번호이다. CAS는 Chemical Abstracts Service의 약자로, 미국의 화학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운영하는 국제적인 화학물질 정보 서비스로, 1907년부터 운영되고 ..
6대 온실가스란? 이번 포스팅에서 Net Zero를 공부하다 보니 6대 온실가스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같이 폭풍 검색해 보자. 온실 가스(GHGs, Green House Gas) 지구 대기에 열을 가두고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가스 물질을 의미한다. 이 가스들은 지구의 온도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할 경우 다음과 같은 부정적인 기후 변화를 초래한다. 1. 만년설이 녹아서 없어진다. 2. 해수면이 상승한다. 3. 그 외에 극단적인 기후 조건을 불러온다(혹서, 혹한, 태풍, 폭우, 폭설, 가뭄 등...) 온실가스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6가지를 꼽는데,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HFC), 퍼플루오로카본(PFC) 이 그것..
넷제로(Net Zero)란 무엇인가? 최근 회사 보고용 자료를 만들다가, 이 연구의 차별점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탄소배출량 감소에 대해서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정확한 것인지,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인지 고민한 적이 있다. 그러던 중 찾게된 Net Zero라는 표현... 이 표현을 사용해도 되는 건지,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 폭풍검색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Net Zero : 온실가스(GHG*)의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양"과 "대기 중에서 제거되는 양"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 * Green House Gas 탄소배출량 저감하고, 온실가스의 배출/제거의 균형은 약간 다른 것 같다... 일단 온실가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온실가스 : 지구의 대기에 열을 가두고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가스 가장 일반적인 온실가스는 1. 이산화탄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