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폭풍검색

GHS(Global Harmonized System) MSDS에 대하여

물질안전 보건자료,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는 내가 노출되거나 사용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 특히 유해위험성을 알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활용되는 자료이다.

 

화학물질을 제공받는 자는 제공하는 자에게 MSDS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그런데 GHS라는 표현을 들어보았는가?

 

간혹 GHS라는 표현을 MSDS와 동의어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오늘은 GHS에 대해서 폭풍검색 해보자.

 

GHS는 화학물질 분류 및 표지 세계조화 시스템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분류기준에 따라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을 분류하고, 통일된 형태의 경고표지 및 MSDS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현재 3,000만 여종의 화학물질이 지구상에 존재하며, 상업적 물질 수는 약 10만 여종으로 추정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4만 여종의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예전에는 국가별 뿐만 아니라 한 국가 내에서도 부처에 따라 다른 분류기준과 정보전달 체계를 구성하고 있었고, 이에 따라 분류 및 표시에 대한 중복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화학제품의 국제 무역에도 제약이 되었다. 더불어 각 국가 별로 화학물질에 대한 표시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취급자가 혼동을 할 가능성이 있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화학물질 정보 표기의 통일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게 되어 도입된 것이 GHS인 것이다.

 

GHS 도입으로 특히 경고 표지 (마크)가 국제 표준화가 되어 국내 노동자뿐만 아니라 외국인 노동자 또한 위험성에 대한 인식을 한눈에 알 수 있게 되었다.

 

그외에 GHS를 도입하면서 생긴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유해성, 위험성 분류 세분화: 16종에서 28종으로

 2. 그림 문자 : 흑색의 심벌에 적색의 마름모꼴 테두리로 변경(아래 그림 처럼)

 3. MSDS 구성성분의 일부 항목의 순서 및 내용 변경 

 

이러한 변화들로 인해 누리게 된 장점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1. 같은 물질에 대한 다른 평가 및 표시에 대한 방지

2. 물질에 대한 통일된 표시 및 평가

3. 화학물질의 관리 비용 감소

4. 경고표시의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중복 방지 및 제거

5. 정보에 대한 혼란 감소.

 

지금까지 GHS의 의미 및 도입 배경, 주요 변경사항, 이로 인해 발생한 효과들을 간략히 알아보았다. 이제, GHS라는 표현을 들으면 좀 더 친숙하게 다가오지 않을까?

반응형